티스토리 뷰

반응형

일본 원작 만화 "기생수"는 이미 일본에서 명작으로 꼽힐 만큼 인기 있는 만화로 일본에서는 이미 영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는데요. 모두 나름대로 인기는 얻었으나 원작 만화를 뛰어넘는 감동은 주지 못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기생수"를 부산행으로 한국형 좀비를 창조한 연상호 감독이 넷플릭스와 손잡고 6부작 드라마로 만들었습니다. 어떤 드라마인지 살펴 볼까요?

 

 
 

연상호의 "기생수 : 더 그레이"

 

 

일본만화 "기생수"의 설정을 기반으로 하지만 또 다른 그만의 스타일을 창조해서 원작에서의 주인공은 남성이었지만 이번 드라마에서는 여성으로 바뀌고 모든 등장인물이 새롭게 만들어졌습니다.

어디에서 온 것인지 알 수 없는 기생생물이 인간과 함께 살며 생기는 일들이라는 설정 외에는 모두 바뀌었다고 보면 되는데요. 연상호 감독은 일본에서 원작과 같은 일이 벌어질 때, 만일 한국이라면 어떤 일들이 생겼을까 하는 의도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볼 때 문화의 낯 섬 때문인지 공감이 안 가는 경우가 많은데 연상호 감독은 이 점을 좀 더 한국인이 이해하고 접하기 쉬운 환경으로 재설정하고자 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등장인물

 

정수인 : 고등학교 졸업 후 마트 캐셔로 근무 중인 주인공으로 부모에게 버림받은 고아입니다. 마트일을 하던 중 진상 고객과 말싸움을 하고 지친 몸을 이끌고 퇴근하던 중 진상고객이 뒤따라와 그녀를 칼로 수차례 찌르며 공격합니다. 겨우 겨우 수풀 속으로 도망쳐 몸을 피하고 있을 때 근처 기생생물 유충이 포자를 찢고 수인의 귀속으로 파고 들어갑니다. 이로 인해 그녀의 오른쪽 얼굴의 반쪽에 기생생물이 살게 됩니다.

 

설강우 : 망나니파 조직폭력배의 일원으로 영등포파 간부를 죽이려다 실패하고 도망자가 됩니다. 하지만 그가 몸을 숨긴 채로 지내고 있을 때 두 조직폭력 파는 화해를 하고 그는 두 조직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어 고향집으로 돌아오지만 아픈 누나는 뭔가 이상해져 있어 그 누나 뒤를 조사하다 수인을 만나게 되고 알 수 없는 일에 휘말리기 시작합니다.

 

최준경 : 기생생물을 잡는데 혈안이 된 그레이팀의 팀장으로 기생생물을 필요이상으로 증오하며 과격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생생물을 없애는 그녀, 실은 그녀의 남편은 기생생물에 의해 남편을 잃은 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김철민 : 남일 경찰서 강력 3팀 팀장으로 수인의 과거를 알고 있어서 그녀를 보호하려고 노력하는 아버지 같은 존재의 형사입니다.

 

 
 

설정과 배경

 

남천시라는 가상도시에 새진교회는 기생생물의 본거지로 평범한 개척교회였지만 목사가 기생생물에게 희생된 후 기생생물이 되면서 인간이 잡아먹히는 식당으로 전락합니다.

아여 남천경찰서에는 기생생물 사건을 전담하는 헤드쿼터가 되고 전담팀 더 그레이가 상주하며 활동합니다. 말 그대로 경찰청 경비국 위기관리센터 소속으로 기생생물을 대응하기 위한 산탄총, 강철 그물을 발사하는 장비등을 보유하며 인간의 기생생물에 대응하는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압도적인 기생생물의 강력함에 수많은 인원이 희생되고 있습니다.

 

 

 

 

 

 

반응형